일본의 문부대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문부대신은 1885년 문부성이 설치된 이후 역대 내각에서 문부 행정을 담당한 국무대신이다. 1871년부터 1885년까지는 문부경이 존재했으며, 초대 문부경은 오키 다카토였다. 초대 문부대신은 모리 아리노리이며, 이후 여러 정당 소속의 인물들이 문부대신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사람 목록 - 여원 (칭호)
여원은 황족 여성이나 황후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본래 황족 부인에 대한 존칭이었으나 점차 확대되었으며, 특히 일본 헤이안 시대부터 가마쿠라 시대에는 정치에 깊이 관여하기도 했던 칭호이다. - 일본의 폐지된 국무대신 - 일본의 육군대신
일본의 육군대신은 1885년 내각 제도 발족과 함께 설치된 육군성의 수장으로, 군부대신 현역무관제 시행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커졌으나, 태평양 전쟁 후 일본 패전과 함께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방위대신이 자위대를 관할한다. - 일본의 폐지된 국무대신 - 일본의 내무대신
일본의 내무대신은 1885년부터 1947년까지 존속한 내무성의 장으로,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등이 역임했으며 내각총리대신을 겸임하기도 했다. - 일본의 문부대신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문부대신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일본의 문부대신 | |
---|---|
기본 정보 | |
직함 | 문부경/문부대신 |
원어 표기 | 문부쿄/문부다이진 |
로마자 표기 | Monbu-kyō/Monbu-daijin |
영어 명칭 |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Sports and Culture |
담당 기관 | 문부성 |
임명 | 천황(대일본제국 헌법 하) |
임명2 | 내각총리대신(일본국 헌법 하) |
근거 법령 | 대일본제국 헌법(1947년 이전) 일본국 헌법(1947년 이후) |
창설 | 메이지 4년7월 28일 (1871년9월 12일) |
초대 | 문부경: 오키 다카토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 |
마지막 | 문부경: 오키 다카토 문부대신: 마치무라 노부타카 |
폐지 | 2001년(헤이세이 13년)1월 6일 |
계승 | 문부과학대신 |
상징 | 일본국 정부오동나무 문장 |
상징 크기 | 200px |
역대 문부대신 | |
역대 문부대신 | 일본의 문부대신 |
2. 역대 문부경
문부경은 1871년부터 1885년까지 존속했던 일본 문부성의 최고 책임자이다. 오키 다카토, 기도 다카요시, 사이고 주도, 데라시마 무네노리, 고노 도가마, 후쿠오카 다카치카 등이 문부경을 역임하였다.
2. 1. 문부경 목록
대행
문부대보 겸임[4]


